728x90
반응형
여름철 자외선 차단제 사용법 및 추천 제품
여름철에는 강력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가 필수입니다. 자외선 차단제는 단순히 피부를 태우는 것 이상으로, 피부 노화와 피부암 예방에도 중요합니다. 오늘은 자외선 차단제 사용법, 주요 성분, 유기자차와 무기자차의 차이, 백탁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, 추천 제품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1. 자외선 차단제 사용법
- 적절한 양 사용: 얼굴에는 약 1.2g, 즉 2cm 정도의 선을 그을 정도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. 신체에는 각 부위별로 2mg/cm²의 양을 권장합니다.
- 자주 덧바르기: 자외선 차단제는 2~3시간마다 덧발라야 효과적입니다. 특히 땀을 많이 흘리거나 물에 들어간 후에는 다시 발라야 합니다.
- 외출 20분 전: 자외선 차단제는 바르고 난 후 흡수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외출하기 20분 전에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.
- 고르게 펴 바르기: 얼굴뿐만 아니라 목, 귀, 손등 등 자외선에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주세요.
2. AHA와 BHA 성분
- AHA(Alpha Hydroxy Acids): 주로 글리콜산, 젖산 등이 포함되며, 각질 제거와 피부 결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. 민감성 피부에는 자극이 될 수 있으니 사용 전 패치 테스트가 필요합니다.
- BHA(Beta Hydroxy Acids): 살리실산이 대표적이며, 모공 속 피지를 제거하고 여드름 예방에 효과적입니다. 지성 피부나 여드름 피부에 특히 유용합니다.
3. 유기자차와 무기자차 비교
- 유기자차(화학적 자외선 차단제):
- 작용 원리: 자외선을 흡수하여 화학 반응을 통해 열로 변환시켜 피부를 보호합니다.
- 장점: 발림성이 좋고, 백탁 현상이 적어 자연스러운 마무리감.
- 단점: 민감한 피부에는 자극이 될 수 있으며, 사용 후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무기자차(물리적 자외선 차단제):
- 작용 원리: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반사 또는 산란시켜 차단합니다. 주요 성분으로는 산화아연, 이산화티타늄이 있습니다.
- 장점: 피부 자극이 적고, 민감성 피부에도 적합합니다.
- 단점: 백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, 발림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.
4. 백탁 현상
- 백탁 현상이란: 자외선 차단제를 발랐을 때 피부에 하얗게 뜨는 현상을 말합니다. 주로 무기자차 사용 시 발생하며, 이는 자외선 차단 성분이 피부에 남아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.
- 예방 방법: 자외선 차단제를 소량씩 나눠서 여러 번 발라 흡수시키고, 잘 펴 발라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 최근에는 백탁 현상을 최소화한 무기자차 제품도 많이 출시되고 있으니 이러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5. 추천 자외선 차단제
- 라로슈포제 안뗼리오스 XL 플루이드 SPF 50+
- 유기자차로, 끈적임 없이 가볍게 발리고 백탁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. 민감한 피부에도 적합합니다.
- 라로슈포제 안뗼리오스 XL 플루이드
- 이니스프리 트루케어 논나노 논코메도 무기자차 선크림 SPF 48
- 무기자차로, 논나노 기술로 백탁 현상을 최소화하고 민감성 피부에도 적합합니다.
- 이니스프리 트루케어 논나노 논코메도 무기자차
- 닥터자르트 에브리 선 데이 선 플루이드 SPF 50+
- 유기자차와 무기자차를 혼합한 제품으로,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에 백탁 현상이 적습니다.
- 닥터자르트 에브리 선 데이
여름철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위의 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의 피부 타입과 필요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보세요!
여름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건강한 여름 보내세요!
728x90
반응형
'유용한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행을 더 즐겁게! 유용한 여행 앱과 사이트 (67) | 2024.07.10 |
---|---|
콜라겐의 중요성과 효과: 피부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(7) | 2024.03.27 |
경기광주 24시간 무인 컬러 프린트 출력 | 프린트잇 앤 커피 (2) | 2024.03.25 |
온라인 쇼핑몰 테무 TEMU 가입코드 (3) | 2024.03.24 |
봄철 건조와 미세먼지, 건강한 실내 공기 만드는 방법 (3) | 2024.03.21 |